에프터이펙트에서 MP4로 출력하는 3가지 방법은?

에프터이펙트 mp4로 출력하는 방법 3가지

에프터이펙트는 뛰어난 영상 편집 도구지만, 사용자가 mp4로 직접 출력하기 어려운 점이 있습니다. 많은 사람들이 에프터이펙트를 통해 작업한 후, 결과물을 mp4 포맷으로 변환하고자 하지만 이 과정은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 본 포스팅에서는 에프터이펙트를 사용하여 mp4로 렌더링 출력하는 방법 3가지를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H.264 코덱이 없는 이유

에프터이펙트에서 출력 옵션 중 h.264가 사라진 주된 이유는 2017년 어도비 CC 업데이트에서 발생했습니다. 사용자들은 기능이 복잡해졌다는 점을 아쉬워하고, 업데이트로 인해 불편해진 점에 대해 불만을 품을 수 있습니다. 이 변화는 많은 사람들에게 마치 클립을 편집하고 난 후 이제 어디로 가야 하지?!라는 심정으로 다가왔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대체 이 상황을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H.264 코덱의 필요성

h.264 코덱은 파일의 크기에 비해 높은 화질을 제공하여,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비디오 포맷 중 하나입니다. 예를 들어, 같은 비디오를 h.264로 인코딩할 경우, 크기는 줄어들지만 화질은 거의 유지되는 장점이 있습니다. 그러나 이 코덱이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많은 사용자들은 대안을 찾게 됩니다. 하지만 다행스럽게도, 에프터이펙트 사용자는 쉽게 유용한 방법들을 찾을 수 있습니다.

대안으로서의 미디어인코더

제가 처음 추천하는 방법은 어도비의 미디어인코더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미디어인코더는 다양한 포맷 간의 변환을 지원하며, 특히 비디오 편집 후 간편하게 출력할 수 있는 유용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에프터이펙트에서 출력 시 h.264를 사용할 수 없게 되더라도, 미디어인코더를 사용하면 이러한 제한을 풀 수 있다는 점입니다. 그러므로 미디어인코더를 사용하는 방법을 서술하겠습니다.

장점 설명
다양한 포맷 지원 mov, avi, mp4 등 다양한 포맷을 지원합니다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직관적인 인터페이스로 초보자도 쉽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배치 인코딩 기능 여러 파일을 한꺼번에 변환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 시간 절약이 가능합니다

중요한 점은 미디어인코더를 사용하여 mp4로 변환하는 절차가 매우 직관적이라는 것입니다. 특히, 사용자가 원하는 포맷으로 한 번의 클릭으로 설정할 수 있기에 별도의 복잡한 과정을 요구하지 않습니다.

💡 애프터이펙트 출력 방법을 쉽게 알아보세요! 💡


미디어인코더를 이용해 mp4 출력하기

이제 구체적으로 어떻게 미디어인코더를 사용하여 mp4로 출력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첫 단계는 에프터이펙트에서 작업한 영상을 미디어인코더에 추가하는 것입니다. 에프터이펙트에서 작업한 파일을 미디어인코더의 대기열에 추가한 후, 필요한 포맷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출력 순서

  1. 에프터이펙트에서 렌더링하기: 에프터이펙트에서 작업한 파일을 미디어인코더 대기열에 추가합니다. 이를 위해 Add to Adobe Media Encoder Queue 버튼을 클릭합니다.

  2. 출력 포맷 설정하기: 대기열에 추가된 파일을 선택하고 출력 포맷을 h.264로 설정합니다. 이를 통해 mp4로 변환할 준비가 완료됩니다.

  3. 출력 경로 설정: 파일을 저장할 경로를 지정합니다. 이 과정에서 후에 파일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정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렌더링 시작: 모든 설정이 완료되면 렌더링 버튼을 눌러 변환을 시작합니다. rendering 과정은 컴퓨터의 성능에 따라 다소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단계 설명
1단계 파일을 미디어인코더 대기열에 추가
2단계 출력 포맷을 h.264로 설정
3단계 저장 경로 설정
4단계 렌더링 시작

이러한 과정은 처음에는 생소하게 느껴질 수 있으나, 몇 번의 반복을 통해 쉽게 익힐 수 있습니다. 그리하여, mp4 파일은 손쉽게 출력됩니다.

💡 에프터이펙트 MP4 출력의 모든 방법을 알아보세요! 💡


프리미어 프로를 이용한 mp4 출력하기

또 다른 방법은 프리미어 프로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이는 적재적소에 필요한 도구인 만큼, 애초에 비디오 편집이 다소 익숙하다면 주저 없이 활용할 수 있는 옵션입니다.

프리미어 프로의 장점

프리미어 프로는 강력한 비디오 편집 소프트웨어로, 다양한 기능을 제공합니다. 예를 들어, 파일을 편집하면서도 쉽게 다른 포맷으로 변환할 수 있어 많은 전문가들에게 최적의 선택지 중 하나입니다. 프리미어 프로를 통해 mp4 출력하는 과정을 알아보겠습니다.

  1. QuickTime으로 출력하기: 첫 단계는 에프터이펙트에서 작업한 영상을 QuickTime(mov) 포맷으로 출력하는 것입니다. mov 포맷은 용량은 크지만 화질이 뛰어난 장점이 있습니다.

  2. 프리미어 프로에 파일 불러오기: 프리미어 프로를 실행하여, 만든 파일을 쉽게 불러옵니다. import 섹션을 더블클릭하여 mov 파일을 선택하면 됩니다.

  3. 드래그 앤 드롭: 불러온 파일을 타임라인에 드래그하여 넣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본인이 원하는 대로 편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 수 있습니다.

  4. 파일 렌더링: 이후, 파일 렌더링을 위한 단축키인 Ctrl + M (Mac에서는 Command + M)을 입력하여 렌더링 설정 화면으로 이동합니다.

  5. h.264 선택 및 렌더링: 포맷 목록에서 h.264를 선택한 후, 렌더링 과정을 완료하면 mp4 파일로 출력됩니다.

단계 설명
1단계 QuickTime(mov)으로 출력하기
2단계 프리미어 프로에 파일 불러오기
3단계 드래그&드롭으로 타임라인에 파일 추가
4단계 렌더링 설정 화면으로 이동
5단계 h.264 포맷 선택 후 렌더링 완료

프리미어 프로는 작업하는 동안 다른 기능과 옵션도 자유롭게 활용할 수 있어, 많은 사용자들에게 모든 비디오 편집 툴이 모여 있는 모습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 에프터이펙트에서 간편하게 MP4로 변환하는 방법을 알아보세요. 💡


짧은 결론

이번 포스팅에서는 에프터이펙트를 이용해 mp4 파일로 출력하는 세 가지 방법을 공유했습니다. 미디어인코더와 프리미어 프로는 각각의 장점을 가지고 있어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습니다. 이 글을 읽고 필요한 스킬을 익히셨다면, 이제 에프터이펙트를 통해 자신만의 멋진 영상을 손쉽게 mp4로 출력하는 것이 가능해질 것입니다. 앞으로도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할 예정입니다!

💡 에프터이펙트에서 쉽게 MP4로 출력하는 비법을 알아보세요! 💡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질문1: 에프터이펙트에서 직접 mp4로 출력할 수 있나요?
답변1: 직접적인 mp4 출력 지원이 없으므로, 미디어인코더 또는 프리미어 프로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질문2: 미디어인코더 없이 mp4를 출력할 방법은 없나요?
답변2: 현재로서는 미디어인코더 또는 프리미어 프로가 가장 효율적인 방법입니다.

질문3: h.264 코덱이 필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답변3: h.264 코덱은 파일 사이즈를 줄이면서도 높은 화질을 유지할 수 있는 효율적인 방식입니다.

질문4: 프리미어 프로는 어떻게 이용하나요?
답변4: 프리미어 프로를 통해서는 QuickTime(mov)로 작업한 후, 쉽게 mp4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질문5: 에프터이펙트에서 출력한 파일의 화질은 어떤가요?
답변5: 에프터이펙트에서 출력한 후 적절한 포맷으로 변환하면 높은 화질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에프터이펙트에서 MP4로 출력하는 3가지 방법은?

에프터이펙트에서 MP4로 출력하는 3가지 방법은?

에프터이펙트에서 MP4로 출력하는 3가지 방법은?